턱관절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글에서 우리는 턱관절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이를 바탕으로 턱관절의 기능, 즉 턱관절이 하는 일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턱관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우리가 겪었던 여러 가지 증상들을 비로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자, 그럼 바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1. 턱관절의 기본 움직임
턱관절의 기본 움직임을 알면, 턱관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실히 이해가 될 것입니다. 말씀드렸다시피, 턱관절은 아래턱뼈(하악골)와 머리뼈(측두골)가 만나는 부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관절은 매우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서 우리가 다양한 활동을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턱관절의 기본 움직임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문용어로 개구와 폐구, 측방 운동, 그리고 전후 운동이라고 하는데, 아래에서는 좀 더 쉬운 말로 풀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입을 열고 닫는 동작(개구와 폐구)
입을 열고 닫는 동작은 턱관절의 가장기본적인 움직임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아침에 일어나서 아침밥을 먹을 때를 상상해 봅시다. 어떤 동작이 필요한가요? 우선 입을 벌리고 음식을 넣은 후 씹기 위해 입을 닫는 동작이 필요합니다. 이때 턱관절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우리가 음식을 씹고 삼킬 수 있게 도와줍니다.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측방 운동)
턱관절은 단순히 위아래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다시 아침 식사로 돌아갑시다. 입을 벌려 음식물을 넣습니다. 그냥 삼키면 큰일 나겠지요? 음식을 잘 씹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동작이 무엇이고 무엇이 이 일을 할까요? 네, 턱관절입니다.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측방 운동) 덕분에 우리는 음식을 골고루 씹을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앞뒤로 움직이는 동작(전후 운동)
턱관절은 앞뒤로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 움직임(전후 운동)은 주로 음식을 잘게 부수거나 말할 때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질긴 고기를 씹을 때 잘 살펴보세요. 앞뒤로 턱을 움직여야 고기를 잘게 부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턱관절의 기능적 역할
턱관절 기능적 역할은 이런 단순한 움직임 외에도 많습니다. 대부분 상식적으로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음식을 먹고(씹고, 삼키고), 말을 하고, 다양한 표정을 짓고, 심지어는 호흡도 조절합니다. 다시 한번 이것의 기능을 점검함으로써 우리 일상생활에서 턱관절이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식 씹고 삼키기
음식을 씹는 것, 전문용어로 저작(씹기)은 두말할 것도 없이 턱관절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음식을 씹는다는 것은 생각보다 상당히 정밀한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씹으려면, 바로 위에서 살펴보았다시피, 턱관절은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여야 하고 또한 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조절합니다. 이 기능에 문제가 없어야 이빨이 비로소 음식을 잘게 부숴 소화가 잘 되도록 도울 수 있는 것입니다.
삼키기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이번에는 사과 먹는 동작을 한번 상상해 봅시다. 음식물을 씹은 후 삼킬 수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턱관절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음식물이 입에서 목으로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음식이 원활하게 넘어가려면 턱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여야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음식을 삼키는 기능 역시 턱관절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말하기
말할 때 우리 신체의 어느 부분이 움직이는지 생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예를 들어, “반갑습니다”라고 인사할 때를 상상해 봅시다. 이 말을 하려면 우선 입을 열고 닫아야 합니다. 또한 혀와 입술을 움직여야 비로소 소리가 납니다. 인간만이 낼 수 있는 다양한 소리를 정확하게 발음하기 위해 아주 섬세한 조절이 필요하지요. 그때 우리가 사용하는 것이 바로 이 턱관절입니다.
표정
턱관절 장애(TMJ disorders)가 있으면 턱의 움직임에 문제가 생겨 자연스럽게 표정을 지을 수 없습니다. 웃고 싶은데 웃을 수 없고, 놀라도 입이 벌어지지가 않습니다. 생각만 해도 정말 끔찍한 일입니다. 표정이야 말로 인간의 감정을 표현해 주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지난주 7일 동안 여러분이 지은 여러 가지 표정을 상상해 봅시다. 당신 신체는 어떻게 움직였나요? 웃을 때 보통 입꼬리가 올라가고, 광대뼈 주변 근육이 수축하면서 밝고 활기찬 표정을 만듭니다. 놀랐을 때는 입을 크게 벌리며 턱이 아래로 내려갑니다. 보통 화가 났을 때는 턱은 꽉 다물어져 있고 근육이 경직되어 있습니다. 슬플 때도 입꼬리가 내려가거나 턱이 보통은 다물어 있어야 합니다. 이처럼 턱관절은 인간이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표정을 짓는 데도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호흡 조절
턱관절은 호흡을 조절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입을 벌리고 닫는 동작을 통해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기에 걸려 코가 꽉 막혔을 때 어떻게 하셨나요? 입으로 숨을 쉴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턱관절이 움직이면서 공기가 원활하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당신이 잘 숨 쉴 수 있도록 도와주었을 것입니다.
3. 턱관절의 협응 기능
턱관절의 협응 기능은 왜 알아야 할까요? 위에서 본 여러 가지 주요한 기능들은 턱관절 혼자서는 절대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신체 부위와도 협응 해야만 비로소 다양한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턱관절만 있다고 해서 음식을 씹고 삼킬 수 있을 까요? 말을 하고, 표정을 지을 수 있을까요? 절대 아닐 겁니다. 치아, 혀, 얼굴 근육 등이 있어서 우리는 이 복잡한 동작들을 비로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좀 어려운 말인 “협응”이라는 단어를 쓴 이유가 바로그 때문입니다. (“협응”이라는 말은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조화롭게 작용하여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치아와의 협응
턱관절은 치아와 밀접하게 협력하여 음식을 씹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빨은 음식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고, 턱관절은 치아가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때 턱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여야 치아가 효과적으로 음식을 부술 수 있습니다.
혀와의 협응
턱관절은 혀와도 협력하여 말을 하거나 음식을 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말을 할 때 혀가 정확한 위치에 있어야 정확한 발음하고, 턱관절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쉬운 예로 영어를 처음 배울 때, 교과서 첫 장에 있던 영어 발음과 혀의 위치가 그려진 그림 기억나시나요? 한국에서 7-80년대에 학창 시절을 보내신 분이라면 대부분 기억하실 겁니다. 그때 혀의 위치가 발음을 하는데 얼마나 중요하지 이해가 되셨다면, 이제는 턱관절이 그 발음 위치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셨을 겁니다.
얼굴 근육과의 협응
턱관절은 얼굴 근육과 협력하여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얼굴은 많은 근육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근육들이 서로 협응 하여 다양한 감정과 표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웃을 때는 여러 얼굴 근육들이 동시에 움직입니다. 입꼬리를 올리는 근육, 눈가 주름을 만드는 근육, 그리고 턱관절이 함께 작용하여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웃음을 만들어냅니다.
말할 때나 음식을 씹을 때도 턱관절과 얼굴 근육의 협응이 중요합니다. 입을 벌리고 닫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져야 말이 명확하게 전달되고, 음식도 잘 씹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턱관절과 얼굴 근육의 협응은 단순한 움직임 이상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 이처럼 턱관절을 움직임으로써 우리는 음식을 먹고, 말을 하고, 다양한 표정을 짓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턱관절 혼자서 독립적으로 가능한 게 아니라 치아, 혀, 얼굴 근육과 긴밀히 협력하여야만 제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어느 정도는 알고 계셨겠지만, 막상글로 읽어보니 어떠신가요?
저는 이 글을 통해 어떤 지식을 전달하는 것보다, 알고 있는 사실을 환기시켜 그 중요성에 대하여 자각하기를 바랍니다. 누구라도 지금 당장 말하고, 음식을 씹고, 삼키는 기능 중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긴다면, 생활이 얼마나 불편하겠습니까? 너무나 울고 싶은데 아무 표정도 지을 수 없다면 그것은 또 얼마나 끔찍할까요? 모든 관절이 다 중요하지만,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 작지만, 매우 복잡하고 엄청나게 중요한 턱관절! 턱관절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데도 기여합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는 <턱관절의 바른 위치와 중요성>으로 만나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