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장애 유병률 통계를 성별, 연령벽, 지역별로 살펴보겠습니다. 턱관절은 여러분이 상상하는 것보다 아주 흔히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중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턱관절 장애의 증상을 간과하거나 잘못된 자가 치료를 시도하여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 성인의 턱관절 장애 유병률은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2021년 대한턱관절협 (Korean Associ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Surgeons)의 조사에 따르면, 약 20%의 한국 성인들이 턱관절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이는 5명 중 1명이 해당 질환을 경험하고 있다는 의미로,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저의 가족은 5명인데, 이미 저 자신과 제 남편이 약간의 턱관절 장에 증상이 있습니다. 저의 가족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란 말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도 잠깐 주위를 둘러보세요. 여러분 가족이나 친척들에 이 장애를 경험한 환자가 분명히 있을 겁니다. 생각보다 많아 깜짝 놀라실 겁니다. 자 그럼 성별, 연령별, 지역별 유병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성별에 따른 유병률 통계
성별에 따른 유병률 통계를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여성들의 유병률이 남성들보다 높습니다. 대한턱관절협회에 따르면, 여성의 유병률은 약 25%로, 남성의 유병률인 15%보다 훨씬 높습니다. 여성들이 왜 더 많이 이병에 걸릴까요?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그리고 생활 습관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보더라도 생리 주기에 따라 스트레스 지수가 엄청나게 높아지는 걸 경험했습니다. 생리가 가까워오면 주변 가족들이 모두 알아차릴 정도로 히스테리가 심해져 모두 불편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렇게 우리 여성들은 매달 한 번씩 생리를 해야 하고, 임신과 출산이라는 엄청난 일을 겪게 됩니다. 또한 폐경 등으로 인해 심리적, 신체적 타격이 커서 남에게 말도 못 할 정도로 고통스럽습니다.
이 것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같은 호르몬 변화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호르몬 변화가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 것은 여자라면 누구나 경험적으로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사실,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우리 여성들의 유병률이 높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입니다.
연령별 유병률 통계
연령별 유병률 통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연령별로도 턱관절 장애의 유병률에 차이가 크게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20대에서 40대 사이의 사람들이 턱관절 장애를 가장 많이 겪는다고 합니다. 특히 30대 여성들의 유병률이 가장 높아서, 약 30%에 달합니다. 이 연령대는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시기이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0대라는 이 시기는 직장 내에서의 업무가 많을 수 있는 나이라 스트레스가 매우 높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여성들이 가장 출산을 많이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출산에 따르는, 육아 스트레스 등이 겹치는 시기가 됩니다. 결국 턱관절에 무리가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턱관절 주변 근육을 긴장시키고, 결과적으로 턱관절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남성 역시 이 나이대 사람들이 가장 사회적 활동이 왕성한 시기입니다. 회사에서의 직급도 연령상 중간 정도가 되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그러다 보니 역시 이 연령대 분들이 스트레스 지수가 가장 높고, 따라고 턱관절 장애의 유병률도 높아지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 유병률 통계
지역별 유병률 통계에도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도시와 농촌에 따라 유병률 차이도 존재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시골 생활을 동경하고 있기에, 이 통계에 상당한 관심이 있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의 연구에 따르면, 대도시 거주자들이 농촌 지역 거주자들보다 턱관절 장애를 더 많이 겪는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구체적으로, 대도시 거주자의 턱관절 장애 유병률은 약 22%로 나타났으며, 이는 농촌 지역 거주자의 유병률인 18%에 비해 높은 수치입니다.
이러한 통계는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시와 농촌 간의 생활 방식과 환경 차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대도시 거주자들의 턱관절 장애 유병률이 더 높은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대도시, 특히 서울 살이는 말 그대로 ‘스트레스’ 그 자체라 해도 누구도 크게 반대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가장 큰 스트레스는 뭐니 뭐니 해도 치솟는 집값일 것입니다. 학교나 직장에서는 치열한 경쟁에 시달리고, 그 속에서 우리는 한치의 여유도 없이 빠른 생활 속도에 시달리게 됩니다. 모든 것이 만성적인 스트레스 유발 요인입니다. 매일 아주 큰 펀치를 맞은 것처럼, 서울에 사는 우리는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우리의 턱관절이 아프지 않은 게 이상할 지경입니다.
또한, 대도시 거주자들은 농촌 지역 거주자들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앉아서 보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무직 업무나 교통 체증은 당연히 대부분 도시에만 해당되는 말입니다. 이로 인한 장시간, 어쩌면 하루 종일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방식은 건강에 아주 좋지 않습니다. 신체의 전반적인 균형을 깨뜨리고, 이는 턱관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 농촌 지역 거주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활동적이고 신체적으로 움직이는 시간이 많아 이러한 문제를 덜 겪을 수 있습니다.
식습관 역시 중요한 요인입니다. 건강에 좋지 않은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의 소비가 어느 지역에서 더 높게 일어나겠습니까? 반면, 농촌 지역에서는 어떤 음식을 먹겠습니까? 바로 밭에서 따온 오이와 상추, 고추와 가지가 올라온 밥상이 상상이 되시는지요? 이 상대적으로 매우 신선한 재료를 사용한 식단들은 건강에 얼마나 좋겠습니까? 이들은 턱관절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먹으면서 기분도 좋아지니 스트레스 해소에도 아주 좋을 것입니다.
환경적인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대도시는 소음과 공해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이 많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들은 신체의 긴장을 유발하고, 이는 턱관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은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공기가 깨끗해 이러한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이 적습니다. 이것은 번외의 이야기지만, 갑자기 저도 어서 빨리 시골에 가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상 턱관절 장애의 유병률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턱관절 장애의 유병률은 여러 연구와 통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통계 추세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여성이, 연령별로는 30대가, 지역별로는 대도시에서 사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 유병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턱관절 유병율 통계는 우리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 줍니다. 스트레스에 취약한 사람들이 누구인지 알게 되었고, 이들을 어떻게 도울지에 대한 고민해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야 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다섯 명 중 한 명이 이 턱관절 장애를 앓고 있다는 사실 또한 충격적인 일입니다. 우리 모두 보다 건강한 삶과 건강한 사회에 대해 고민을 해 보아야 할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턱관절 건강에 일상 속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