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국민연금 감액 당하지 않으려면?

은퇴 후 재취업으로 소득이 생기면 정말 국민연금(노령연금) 받을 수 없는 건가요?

받을 수 없다기보다는 금액이 감액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것은 얼마까지를 소득으로 보냐는 것얼마만큼 국민연금 감액하냐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행 국민연금은 노령연금 수급자가 은퇴 후 일을 하거나 사업등으로 기준을 초과하는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연금 수령연도로부터 최대 5년간 소득 수준에 비례해 국민연금 감액하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얘기해 보겠습니다. 수급자의 소득이 국민연금 가입자의 3년간 월평균소득액(국민연금 A값이라 부름)을 넘으면 구간에 따라 국민연금 감액됩니다.

내 국민연금 감액 당하지 않으려면?
내 국민연금 감액 당하지 않으려면?

 

자 일단 이게 언제부터 적용되냐면 앞서 얘기했듯이 연금 수령 나이가 되었을 때부터입니다. 이게 기준입니다.

 

나의 연금 수령 나이는 어떻게 되는가?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 가입자가 나이가 들어 소득 활동에 종사하지 못할 경우 지급되는 급여로, 가입기간(연금보험료 납부기간)이 10년 이상이면, 연금 수령이 가능한 시기 이후부터 평생동안 매월 지급받을 수 있는 급여를 말합니다. 이는 출생연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급 연령이 정해져
있습니다.

노령연금 수급 연령
노령연금 수급 연령

 

그러면 이 나이 이후에 소득이 발생하면 국민연금이 감액된다는 것인데, 얼마가 감액되는 건가요? 또 얼마동안 감액한다는 것인가요?

 

국민연금 감액 액수는 얼마나 되나요?

아래 표를 보면 알겠지만, 예를 들어 58년생인 김씨가 노령연금을 월 80만 원씩 받고 있다고 합시다. 그런데 2024년 일을 하여 소득이 354만 원 발생했다고 한다면, 2024년 A값이 299만원이니 초과소득월액이 55만 원으로 100만 원 미만 구간에 해당 됩니다.

따라서 소득이 있는 기간 동안은 2만 7500원이 감액된 약 77만 2500원의 연금을 받게 되며, 만 67세가 되면 다시 전액 80만 원을 받게 됩니다.

국민연금 감액 표
국민연금 감액 표

 

여기서 말하는 A값이란 최근 3년간 평균소득월액을 말합니다. 2024년은 299만원 정도입니다. 이것으로 본인이 얼마만큼 차감되는지 계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얼마동안 국민연금 감액하나요?

앞서 58년생 김씨 예에서도 보았겠지만, 최대 5년까지 국민연금 감액되고, 그 이후로는 원래 국민연금 금액을 받게됩니다.

 

결론

소득이 있다고 무조건 국민연금이 정지되거나, 감액되는 것이 아닙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국민연금 감액이 되며, 이것도 최대 5년까지이며, 그 이후로는 원래 금액으로 환원됩니다. 따라서 이 소득 구간을 잘 알고 있으면, 거기에 맞춰 소득을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면 현명한 은퇴 후 소득 관리가 될 것입니다.오늘은 소득 구간별 국민연금 감액 액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나의 국민연금 조기수령액은 얼마인가?